안녕하세요, 마케팅 하는 개발자 ju입니다.
오늘은 디지털 마케팅을 하는데 있어서 널리 쓰이고 있는 GTM, 구글 태그 매니저에 대해서 마케터가 알아야 할 내용에 대해서 알려 드리겠습니다!! 이 글만 읽으셔도 다른 GTM글을 대해서 알아야 할 핵심을 알게 되실 것 입니다!
1. GTM 이란

GTM은 Google Tag Manger(구글 태그 매니저)의 약자로, 사용자의 활동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게 도와주는 도구 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측정”이 되면, 추측이 아니라 데이터를 기반으로 성과를 개선 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2. 측정이 되면 뭐가 좋지?
광고를 진행하는 광고주 입장에서는 측정이 되지 않으면 다음과 같은 고민이 생길 수 있습니다.
광고를 돌렸는데, 왜 매출이 안 늘지??
사람들이 웹 페이지에 들어오는거 같기는 한데, 구매는 안하네, 이유가 뭐지??
사람들이 구매를 하지 않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상품의 썸네일이 별로여서 상세페이지 까지 넘어가지 않을 수도 있고, 상세 페이지 까지 갔지만 가격이 부담스럽거나, 상품 설명이 부족해서 구매를 망설일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사용자들의 행동을 측정할 수 있다면,
홈페이지에서 썸네일을 누르는 사람의 비율이 너무 낮으니, 썸네일을 바꿔보자
이 제품은 사람들이 많이 보는데 구매는 적은것을 보니, 한시적으로 할인을 한번 진행해 보자
와 같이 정확한 문제를 파악할 수 있고,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광고 알고리즘도 광고주와 동일하게 측정이 되지 않으면 성과를 최적화 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광고 알고리즘의 입장에서)
이번 광고의 목표는 "전환" 인데, 지금 이사람이 구매를 했나..?
광고를 본 사람이 구매를 했는지 안했는지 모르면 최적화를 어떻게 하지..
그럼 일단 광고 클릭이라도 많이 하는쪽으로 최적화 해야겠다
그런데 GTM을 통해 광고 시청자의 구매 데이터를 알릴 수 있다면,
20대 남자들 이 클릭이 많은데,
그 중에서도 특히 와이드 팬츠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 실제로 구매를 많이 하네
그러면 "와이드 팬츠를 검색한 20대 남자" 위주로 광고를 진행하자
처럼 훨씬 구체적으로 타겟팅이 가능합니다.
3. GTM의 구성
이전까지는 GTM이 있으면 왜 좋은지, 어떤 것들이 되는지 알아봤습니다. 이젠 GTM 구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GTM과 관련된 글을 찾아보면 태그, 스크립트, 컨테이너, 변수처럼 이름 모를 것들이 많은데, 핵심은 2개 밖에 없습니다.
우리 서비스에서 일어난 일을 다른 서비스에 알려주는 일을 합니다. -> 태그
이런 "태그"를 관리하는 사이트 -> GTM
그러면 이름에서도 나와있듯이 Tag 가 가장 중요한데, 이 태그를 관리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트리거”, “태그”, “컨테이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트리거
트리거는 “언제”, “어떤 일이 생겼을 때” 를 설정하는 항목입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구매 버튼을 눌렀을 때”,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절반이상 봤을 때” 처럼, 태그가 데이터를 언제 보낼지를 결정합니다.
2. 태그
태그는 “언제”, “누구에게” 데이터를 보낼 지를 묶어서 설정하는 항목입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구매 버튼을 누르면 구글 애드로 데이터를 보내줘”, “사용자가 웹페이지를 절반이상 봤을 때 GA4로 데이터를 보내줘” 처럼, 데이터의 목적지를 정합니다.
3. 컨테이너
만약에 제가 5개의 다른 서비스를 관리하고 있다면, 폴더를 구분해서 관리하는 것 처럼 논리적인 구분을 관리하는 항목입니다.
폴더를 어떻게 나눠서 관리 할지는 개인의 자유인 것 처럼, 컨테이너도 편하신대로 나누어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시 정리하면

사용자의 특정 행동을 하였을 때, 이를 다른 프로그램에 알릴 수 있도록 “태그”를 설정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가 GTM 입니다!!
지금까지 GTM에 대해서 설명을 드렸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혹시 이해가 안가는 내용이나, 도움이 필요하신 부분이 있으면 편하게 댓글 남겨주세요 ㅎㅎ
이미지 출처
'마케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케터를 위한 다양한 LLM 활용법 - 생성형 AI 마케터 | 마케팅 랩 (0) | 2024.07.20 |
---|